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재무제표 비율계산(손익계산서상)

중소기업정책자금/중소기업대출 일반자료

by TEL : 010-4044-0516 2020. 11. 19. 08:51

본문

1) 수익성 분석

- 매출액총이익률

매출총이익 / 매출액 * 100

- 영업이익 때 매출총이익 비율

영업이익/매출총이익 *100

판매관리활동의 효율성을 측정한다.

이 비율이 35%라면 매출총이익의 65%가 판매관리비로 지출됨을 의미한다.

- 매출액영업이익률

영업이익 / 매출액 * 100

영업활동의 효율성을 측정한다.

- 매출액 순이익율

당기순이익 / 매출액 * 100

전체적인 경영활동의 효율성을 측정한다.

만일 매출액영업이익률은 정상적인데, 매출액순이익률이 표준보다 떨어진다면, 그 이유를 금융비용의 과다(영업외비용의 과다),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엔 금융비용 중 이자비용의 부담비율이 높기 때문 (, 부채의존도가 높음)이라고 해석한다.

2) 자본수익성 비율

- 총자본영업이익률

영업이익 / 총자본 * 100 (총자본은 총자산을 뜻 함)

자본에 대한 투자수익이므로 투자수익률, 즉 사후적 내부수익률로 볼 수 있다. 이를 자본비용과 비교하여 NPV>0이면 기업의 부는 증가한다.

- 자기자본순이익률(ROE)

순이익 / 자기자본 * 100

주주가 투자산 자본에 대한 수익성이다. ROE는 주주의 투자수익률을 나타내기도 하고, 사후적인 자본비용의 대용치이기도 하다. 하지만, 분자는 채권자, 주주 모두에게 귀속대는 영업이익이므로 적절하게 대용되는 비율은 아니다.

- 총자본순이익률(ROI)

순이익 / 총자본 * 100

ISBS의 최종자료끼리 대응시킨 종합집약성과지표이다.

특히 ROI는 매출액순이익률 (=순이익 / 매출액) * 총자본회전율(= 매출액 / 총자본)로 나누어서 분석할 수도 있음에 유의하자.

3) 활동성 분석

- 재고자산 회전율

매출액 / 재고자산 * 100

재고자산이 일정기간동안 몇 번이나 당좌자산으로 전환되었는지 나타낸다. 재고자산회전율 평가시엔, 재고자산은 BS상의 기말재고보다는 연평균재고자산으로 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인플레가 심할 경우 매출액은 시가가 아닌 원가로 환산하여 계산하면 보다 합리적이다.

- 매출채권 회전율

매출액 / 매출채권 * 100

매출채권의 현금화속도를 측정한다. 매출채권 평균회수기간도 매출채권회전율의 역수로 하여 계산한다.

- 매입채무 회전율

매출액 / 매입채무 * 100 매입채무의 지급속도를 측정한다. 특징을 기억할 것은 매입채무의 회전기간이 길어질수록 기업은 자금압박을 덜 받게 된다는 것이다.

- 총자산회전율

매출액 / 총자산 * 100

기업이 투자한 총자산의 활용도를 총괄적으로 나타낸다.

- 자기자본회전율

매출액 / 자기자본 * 100

주주가 투자한 자본의 활용도를 나타낸다.

- 고정자산회전율

매출액 / 고정자산 * 100

고정자산의 활용도를 나타내는 비율이다.

 

l 1회 운전자본 : 기업의 영업활동을 위한 시설자본을 계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자금을 운전자

본이라고 한다. 1회 운전자본이란, 현금전환 사이클 개념에서 나온적으로서 시설을 최초로 가동한 후 제품을 생산, 판매하여 현금을 회수할 때 까지의 운전기간동안의 필요한 자금을 말한다.

l 1회 운전기간 = 재고자산회전기간 + 매출채권회수기간 매입채무회전기간

, 자금구속기간(재고, 매출채권)과 자금사용기간(매입채무)을 함께 고려한 투하현금회수 평균기간을 말한다.

l 1회운전자본 = (매출액 영업이익 감가상각비 ) * 1회운전기간()

영업이익을 차감하는 이유는 영업비용을 기준으로 운전자본을 산출하기 위해서이며, 감상비를 차감하는 이유는 영업비용 중 감상비는 이미 시설자본투자에 한번에 지출되었던 비용이기 때문이다. 감상비를 제거하지 않으면 1회전 운전자본에 시설자본이 이중으로 감안된다.

4) 성장성 분석

- 매출액 증가율

(당기매출액 전기매출액) / 전기매출액 *100

기업의 외형적 성장세를 나타낸다. 매출액에 대한 최종마진이 확보되는 경우, 매출증가는 수익성향상으로 직결된다.

- 총자산 증가율

(당기말총자산 전기말총자산) / 전기말총자산 * 100

기업의 전체적인 외형적 성장규모를 나타낸다. 그러나 총자산증가가 실질적 성장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. 순이익증가율이나 주당순이익증가율이 실질적 성장을 설명한 지표이다.

- 자기자본증가율

(당기말 자기자본 전기말 자기자본) / 전기말 자기자본 * 100

장부가치에 기준한 주주부의 성장지표.

- 순이익 증가율

(당기순이익 전기순이익) / 전기순이익 * 100

매출액증가율이 외형적 성장세라면 순이익증가율은 실질적 성장세, 즉 한마디로 수익성이라고 할 수도 있다.

- 주당순이익증가율

(당기EPS 전기EPS) / 전기EPS * 100

EPS의 증가지표, 증가규모를 반영한 순이익의 실질적 성장세이다.

- EPS (주당순이익) = 당기순이익 / 총발행주식수

- PER (주가수익비율) = 주당가격 / 주당순이익(EPS) = 발행주식 시가총액 / 당기순이익

 

중소기업 대출상담 신청 바로가기

www.kospa.org/gnuboard4/bbs/write.php?bo_table=f_03

 

(주)중소기업정책자금진흥원

중소기업정책자금, 무역금융, 창업자금, 운전자금, 정책자금, 시설자금, 수출기업정책자금, 중소기업운전자금, 정부정책자금, 수출기업정부지원

www.kospa.org

 

관련글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