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대차 대조표상 분석
1) 유동성 분석
- 유동비율
유동자산 / 유동부채 * 100
단기채무에 충당할 수 있는 유동자산 측정
유동비율이 100%일 때 기업의 유동성은 불충분하다고 본다. 유동자산은 장부가격이 시장가격보다 높은 자산도 있기 때문이다. 도한 재고자산은 시장성을 상실한 것도 있을 수 있다. 과다한 재고자산이 유동성비율을 높여주는 것은 불합리하다. 따라서 200%이상의 유동비율을 적절하다고 여기며 당좌비율을 동시에 고려해야 할 것이다.
- 당좌비율
당좌자산 / 유동부채 * 100
단기채무능력을 보다 직접적으로 평가하므로 산성시험비율 이라고도 한다. 유동성 파악은 당좌비율이 유동비율보다 적합하다.
- 현금비율
(현금+예금) / 유동부채 * 100
유동부채를 커버하는 자산을 현금과 예금으로만 한정한 비율이다. 가장 보수적인 유동비율이기도 하며 현금비율이 지나치게 높다고 하면 기업은 수익성 측면에서 불리하게 된다.
- 순운전자본비율
(유동자산- 유동부채) / 총자산 * 100
기업부실예측모형의 투입변수로 많이 사용된다.
2) 레버리지 분석
- 부채비율
부채 / 자기자본 * 100
100%이하를 보통표준비율로 보며 여신자측의 채권회수 안정성만을 고려한 분석이다. 그러나 오히려 기업의 소유주는 높은 부채비율을 선호할 수도 있다. 자기자본이익률의 확대라는 LR효과 뿐 아니라 기업지배권 유지 등의 이유 때문이다. LR이란 결국 변동가능성 이므로 부채비율이 높으면 기업위험도 높아지는게 일반적이다.
- 자기자본비용
자기자본 / 총자본 * 100
이 또한 기업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비율이다.
- 이자보상비율
(경상이익 + 이자비용) / 이자비용 * 100
BS를 이용한 부채비용등은 정보자체가 일정시점의 정보만 제공할 뿐 일정기간의 부채사용적정성 여부는 알려주지 못한다. 이자보상비율은 이자지급전 경상이익이 타인자본비용의 몇배인지를 알려주는 것으로서, 부채사용이자비용을 정상적인 영업활동이익으로 충분히 커버하는 지를 나타내 준다.
l 이자보상비율은 투자수익률(IRR)과 자본비용(Ke)의 관계, 즉 재무관리의 기본 비교방식을 의미한다.
l 이자보상비율이 높다면, 적정한 부채의 사용, 즉 적절한 부채비율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.
l 이자보상비율 = 영업이익 / 이자보상 = (영업이익/ 총자본) * (이자비용/부채)
= 총자본영업이익율 / 평균이자율
3) 자본배분의 안전성 분석
- 유동자산 구성비율
유동자산 / 총자산 * 100
유동자산구성비율이 높아지면 단기채무 변제능력인 유동성은 높아지나 수익성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. 일반적으로 중공업, 제조업 보다는 경공업, 유통업이 유동자산구성비율이 높다.
- 유형자산구성비율
유형자산 / 총자산 * 100
커질수록 기업은 위험이 커지고 유동성이 떨어진다. 유형자산구성비율이 높다는 것은 장기간 잠겨있는 자산의 비중이 높다는 것으로서 비용구조 측면에서도 고정비를 많이 부담하기 때문에 경기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.
- 투자자산 구성비율
투자자산 / 총자산 * 100
단기간의 높은 수익성을 기대하는 소액주주의 입장에서 투자자산의 보유는 수익성 보다는 다른목적(타회사 지배등의)에나 유용하기 때문에 투자자산 보유를 꺼린다. 또한 투자자산의 수익성은 정상영업활동의 수익성보다 적은게 대부분이기 때문이다. 투자자산의 적정성여부는 총자산영업이익률(영업이익/총자산)을 구해서 영업활동의 수익성을 측정하여 투자자산수익률과 비교하여 구한다.
(주)중소기업정책자금진흥원
http://www.kospa.org
지식재산권 담보대출 (0) | 2020.12.11 |
---|---|
재무제표 비율계산(손익계산서상) (0) | 2020.11.19 |
정책자금 융자 제한기업 (0) | 2020.09.25 |
중소기업 정책자금 신청은 검증된 컨설팅 업체에서 (0) | 2020.09.24 |
소상공인 긴급자금 지원내용 (0) | 2020.09.07 |